취득세 4

취득세 계산방법 - 적용사례

2021.06.24 - [부동산/내집마련] - 취득세 계산방법(2020. 08.12일부터 시행) 취득세 계산방법(2020. 08.12일부터 시행) 부동산을 매수, 매도하면서 부과되는 각종 세금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매수시 내야하는 지방세 중 하나인 취득세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지난 해 2020년 7월 10일 부동산대책이 발 onho.tistory.com 지난 글에서 개정된 취득세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사례를 들어 취득세율이 얼마인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분양권 취득세의 경우 시행령 개정 전과 후가 적용 시점이 다르기 때문에 다소 복잡할 수 있습니다. 사례 1. 개인이 조정지역에 A주택을 보유한 상태에서 2020. 5. 6일 비조정지역의 B분양권(85㎡이하, 분양..

취득세 계산방법(2020. 08.12일부터 시행)

부동산을 매수, 매도하면서 부과되는 각종 세금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매수시 내야하는 지방세 중 하나인 취득세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지난 해 2020년 7월 10일 부동산대책이 발표됨에 따라 취득세가 크게 늘고, 분양권, 조합 입주권, 주거용 오피스텔도 취득세 계산시 주택수에 포함되었습니다. 단, 2020년 7월 10일 이전 매수계약(분양 및 분양권 계약 포함)을 하고 계약금을 지불된 사실이 증빙서류로 확인된다면 종전 규정을 적용합니다. 1. 취득세 납부기한 취득세는 잔금 후 60일 이내 납부하도록 되어 있지만, 등기이전을 하기 위해서는 취득세 영수증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한이 의미가 없습니다. 2. 계산방법 신고가액 X 세율 = 산출세액 + 지방교육세 + 농어촌 특별세 = 실제 우리가 내는..

일시적 2주택 비과세 혜택

사연 얼마 전, 지인이 2주택이 되면서 일시적 2주택 비과세 혜택을 보기 위해 먼저 살고 있던 집을 매물에 내놨습니다. 두 주택 모두 조정지역이이에 1년 안에 팔기만 한다면 첫 번째 주택을 비과세 처리하고 취득세도 1 %로 여유있게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직장 가까운 곳에서 월세로 살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일시적 2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지 못합니다. 1년 이내 전입의무를 놓쳤기 때문입니다. 2019년 12월 16일 국토부에서 발표한 취득세율과 일시적 2주택에 관한 개정안을 보면 조정지역에 집이 있는 사람이 조정지역에 추가로 주택을 매수할 경우 1년 안에 종전주택을 매도하고, 전 세대가 두 번째 집에 전입 의무가 추가되었습니다. 단, 기존 임차인이 거주 중인 경우 임차인 계약 종료시까지 전입의무를 ..

주택 취득에 따른 취득세율

2020년 7월 10일 취득세 개정안이 발표되면서 2주택 취득시부터 취득세로 인한 부담이 가중되었습니다. 취득세율 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1~3%의 취득세에 해당하는 포지션은 이렇습니다.- 조정/비조정지역 1주택 취득시- 비조정지역 1주택 보유자가 비조정지역 2주택 취득시- 조정지역 1주택 보유자가 비조정지역 2주택 취득시- 공시지가 1억 미만 주택 취득시 분양권주택수 산정여부는2020년 7월 10일 이전 계약한 분양권 혹은 전매한 분양권 : 주택수에 포함 X추후 소유권이전 등기 시점에서 소유하고 있는 주택수에 따라 개정 전 취득세율 적용 2020년 7월 10일 이후 취득한 분양권 : 취득시점의 주택수에 따라 개정 후의 취득세율로 결정됨. 예 1) 2주택자가 2020년 4월 분양권 취득 : 분양권 취득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