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을 매수, 매도하면서 부과되는 각종 세금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매수시 내야하는 지방세 중 하나인 취득세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지난 해 2020년 7월 10일 부동산대책이 발표됨에 따라 취득세가 크게 늘고, 분양권, 조합 입주권, 주거용 오피스텔도 취득세 계산시 주택수에 포함되었습니다. 단, 2020년 7월 10일 이전 매수계약(분양 및 분양권 계약 포함)을 하고 계약금을 지불된 사실이 증빙서류로 확인된다면 종전 규정을 적용합니다. 1. 취득세 납부기한 취득세는 잔금 후 60일 이내 납부하도록 되어 있지만, 등기이전을 하기 위해서는 취득세 영수증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한이 의미가 없습니다. 2. 계산방법 신고가액 X 세율 = 산출세액 + 지방교육세 + 농어촌 특별세 = 실제 우리가 내는..